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깨지기 어려운 기록들

마다라
조회 19 댓글 0

타자 기록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289_7757.JPG 

1. 이종범 - 84도루 (1994년)


바람의 아들 이종범이 해태 타이거즈 시절 세운 단일 시즌 최다 도루 기록

당시 124경기 체제에서 경기당 약 0.68개의 도루를 기록한 경이적인 수치

왜 깨기 어려운가?

현대 야구는 도루의 가치보다 장타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며

선수 보호 차원에서 무리한 도루를 자제하는 추세

또한 투수들의 퀵모션과 포수들의 송구 능력이 상향 평준화되어

84도루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기록으로 여겨짐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319_2912.jpg 

2. 에릭 테임즈 - 40-40 클럽 (2015년)


NC 다이노스 시절

KBO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47홈런과 40도루를 동시에 달성

힘과 스피드를 모두 겸비해야 하는 가장 어려운 기록 중 하나로 꼽힘

왜 깨기 어려운가?

한 시즌에 40개의 홈런을 칠 수 있는 파워와

40개의 도루를 성공시킬 수 있는 스피드 주루 센스를

모두 갖춘 선수는 등장하기 매우 어려움

선수 분업화가 심화된 현대 야구에서 호타준족의 상징과도 같은 기록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337_6914.jpg 

3. 이대호 - 9경기 연속 홈런 (2010년)


롯데 자이언츠의 이대호가 세계 신기록으로 세운 9경기 연속 홈런

컨디션 상대 투수 구장 등 모든 변수를 이겨내고 9일 연속으로 홈런 아치를 그려냄

왜 깨기 어려운가?

아무리 뛰어난 타자라도 매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는 어려움

상대 팀의 집중 견제(고의사구 등)를 피하면서

9일 연속으로 홈런을 기록하는 것은 운의 영역까지 필요한 전무후무한 기록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352_7377.JPG 

4. 백인천 - 타율 0.412 (1982년)


프로야구 원년(1982년) MBC 청룡의 백인천이 기록한 유일한 4할 타율

당시 80경기 체제에서 250타수 103안타를 기록

왜 깨기 어려운가?

리그의 수준이 상향 평준화되고 전문 불펜 투수 시스템이 정착되면서

4할 타율은 전 세계적으로 불가능한 영역으로 여겨짐

매 경기 매 타석에서 상대하는 투수들의 수준이 비교할 수 없이 높아졌기 때문


투수 기록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373_3738.JPG 

1. 최동원 - 한국시리즈 4승 (1984년)


무쇠팔 최동원이 롯데 자이언츠를 우승으로 이끌며 한국시리즈 7차전 중

혼자 5경기에 등판해 4승 1패(완투 2회, 완봉 1회)를 기록한 전설적인 투혼의 상징

왜 깨기 어려운가?

현대 야구에서는 선발 등판 간격과 투구 수 관리가 철저하여

한 명의 투수가 한 시리즈에서 5경기에 등판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

투수 분업화와 선수 보호가 최우선인 지금 다시는 나올 수 없는 대기록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504_0254.JPG 

2. 장명부 - 30승 (427⅓이닝) (1983년)


삼미 슈퍼스타즈 시절 단일 시즌 30승과 427⅓이닝이라는 믿을 수 없는 기록을 남김

60경기에 등판해 그중 36경기를 완투

왜 깨기 어려운가?

최동원의 KS 4승과 마찬가지로 현대 야구의 투수 관리 시스템 하에서는 절대 불가능한 기록

선발 투수는 한 시즌에 30-32경기 180이닝 정도를 소화하는 것이 일반적

427이닝은 한 선수가 두 시즌 이상을 던진 것과 같음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521_3215.JPG 

3. 선동열 - 0점대 방어율 (0.78) (1993년)


국보 선동열이 해태 타이거즈 시절 기록한 시즌 평균자책점

126⅓이닝을 던지며 단 11자책점만을 허용 (규정 이닝 충족 기준)

왜 깨기 어려운가?

리그의 전반적인 타격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

타고투저 현상이 심화되면서 1점대 방어율도 S급 투수로 평가

한 시즌 내내 기복 없이 0점대 방어율을 유지하는 것은

현대 야구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압도적인 지배력을 요구함


958eb4767702f04bd0df5cb6d55231c7_1760062537_9985.JPG 

4. 박철순 - 22연승 (1982년)


OB 베어스의 불사조 박철순이 프로야구 원년에 세운 개막 최다 연승 기록

패배 없이 22연승

왜 깨기 어려운가?

연승은 투수 개인의 실력 뿐만 아니라 팀 타선과 수비의 지원 그리고 운까지 따라야 함

한 시즌 동안 패배 없이 22번의 승리를 연속으로 쌓는 것은

현대 야구의 치열한 순위 경쟁과 상향 평준화된 전력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운 과제

리플5
흐웨이 10.10 11:26  
장명부 최동원이 깨지려면 감코진 머리가 먼저 깨져야겠지?? ㅋㅋ
샬롬 10.10 11:28  
427이닝 ㅋㅋㅋㅋ 기계도 퍼지겄다 ㅋㅋㅋ
김내경이 10.10 11:29  
김도영 38홈런 40도루 했으니 근접은 했었네 ㄷㄷ
소원을말해봐 10.10 11:35  
장명부 최동원 제외하고는 뭐가 제일 어려우려나?
수사반장 10.10 11:36  
롯데 정규 시즌 1위 ㅇㅇ 불가능!